728x90

저널 3

[연구 평가 지표] 3. 논문 영향력 지수: 피인용수(Citation impact), FWCI, CNCI

연구 평가 지표 시리즈의 마지막 글인 '3. 논문 영향력 지수'이다.이전 글은 '1. 저널 영향력 지수', '2. 연구자 영향력 지수' 였었다.0. 논문 영향력 지수란?아무리 좋은 저널에 실려도, 아무리 유명한 저자가 써도 알고보면 별로인 논문이 있을 수 있고,좀 안 좋은 저널에 실려도, 신인이 썼어도 좋은 논문이 있을 수 있다.특히 이런 문제점은 유행하는 주제가 있는 분야가 심한 것 같다.내 친구는 고생해서 논문을 좋은 데에다 냈더니만 그 기술 자체가 사장되어(더 좋은 기술이 개발됨) 아무도 안 읽어준다.그러면 논문은 진짜 고생하고 열심히 썼지만 논문 영향력 지수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또 어떤 교수님이 쓰는 논문은 방법론적으로 해당 분야에서는 아무도 안 쓴 논문이라서 저널에서 계속 까여서 impact ..

지식 게시판 2024.11.13

[연구 평가 지표] 2. 연구자 영향력 지수: h-index, g-index, i10-index

저번 글인 「1. 저널 영향력 지수」에 이어, 오늘은 연구자 영향력 지수를 작성해보려고 한다.저널 영향력 지수는 설명할 것이 많은데 연구자 영향력 지수는 종류가 많진 않아서 금방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0. 연구자 영향력 지수란?어떤 연구자는 품질이 나쁜 논문을 여러 개 낸다.반면 다른 연구자는 품질이 좋은 논문을 가끔 낸다. 이 때, 어떤 연구자가 영향력이 더 클 것인가?당연히 품질이 좋은 논문을 가끔 내는 분이 영향력이 클 것이다.아무래도 사람들은 좋은 논문을 인용하려고 하니까...그런데 세상은 그렇게 쉽지 않고,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품질이 다양한 논문을 적당히 작성한다.그렇다면 그들 중 누가 영향력이 클 것인가?어떤 연구자가 연구 성과가 더 좋은 것일까?이런 질문을 대답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수가 연..

지식 게시판 2024.11.08

[연구 평가 지표] 1. 저널 영향력 지수: 종류와 확인법 - Impact factor, CiteScore 등등

연구를 하다보면 내가 쓰고 있는 논문을 얼마나 좋은 학술지에 낼 수 있는지 궁금하고,내가 참고하고 있는 문헌이 과연 괜찮은 논문인지 궁금할 때가 있다.그럴 때 여러 연구 평가 지표를 쓰게 되는데,뭐가 뭔지, 어떻게 확인하는지 이번 글과 이어지는 세 개의 글로써 알아보려고 한다. 순서는 '1. 저널 영향력 지수 2. 연구자 영향력 지수 3. 논문 영향력 지수' 이다. 오늘은 '1. 저널 영향력 지수'편이다.0. 먼저 알면 좋은 정보인용 색인 DB라는 것이 있다.세상에 학술지가 얼마나 많은데 그 모든 것을 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리를 할 수는 없으니까,각 데이터베이스마다 일정 기준을 만족하는 학술지를 선정해서 그것만 정리한다.대표적으로 Clarivate Analytics가 제공하는 Web of Science에..

지식 게시판 2024.10.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