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사진 모음 103

정상적인 Zebrafish의 발생 과정 사진

신년맞이 사진정리하다가 오랜만에 발견한 Zebrafish 사진들...출판된/출판될 자료는 아니고 혼자 보기 아까우니까 올려본당 정상적인 Zebrafish의 발생 과정(a) Zygote Period (0-¾ hpf),  (b, c) Cleavage Period (¾-2¼ hpf), (d, e) Blastula Period (2¼-5¼ hpf), (f-i) Gastrula Period (5¼-10 hpf), (j-l) Segmentation Period (10-24 hpf), (m) Pharyngula Period (24-48 hpf), (n) Hatching Period (48-72 hpf),  hpf: hour-post fertilization 더보기관리를 잘못했었는지 (k) 사진이 좀 지저분하지만 당시..

사진 모음 2025.01.03

가평 아침고요수목원: 겨울 방문 (오색별빛정원전) 후기

이번주는 올해의 마지막 주말이다.날이 춥기는 하지만 모처럼 가족들이 다 같이 모여있는 휴일이라가평의 아침고요수목원에 방문하였다.도착한 시간은 2시 반쯤 되었다.사람이 별로 없고, 주차장도 자리가 텅텅 비어있어서 마음에 들었다.여유롭게 구경할 수 있겠는걸?입장료는 성인 1인당 11,000원이었다. (글 시점은 2024년 12월 28일입니다)참고로 아침고요수목원 티켓이 있으면 옆에있는 아침고요가족동물원 할인권을 주지만 우리가족은 관심이 없었기에 패스.겨울이라서 안전상의 이유로 막혀있는 관람로도 있었지만 해당 관람로들은 산길처럼 생겼어서 막히지 않았어도 가지는 않았을 것 같다.또한, 겨울의 수목원은 황량하니 볼 것이 없을 것이라 생각했었는데다른 외지 식물을 갖다놓은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크는 식물을 갖다두..

사진 모음 2024.12.29

가을의 인천 장수동 은행나무 & 인천대공원

인천 장수동에는 수령이 800년이라는 은행나무가 있다. 인천대공원 동문 쪽에 있는데, 비록 1000년이 되지는 않았지만 수형(樹形)이 예뻐서 유명하다. 용문산 은행나무는 수령은 길지만 수형은 별로 안 예쁜데, 얘는 동그라니 예쁘다.그런데 경험상 동글동글한 수형을 가진 장수동 은행나무나, 반계리 은행나무는 열매가 맺히지 않는 수나무이다. 반면 용문산 은행나무는 암나무인데, 좀 위로 길쭉 솟아있다. 이게 암수의 차이일까? 아니면 암나무는 열매가 맺기 때문에 인간이 관리를 해서 수형이 달라지는 걸까? 내 생각에는 아마 후자일 가능성이 더 높을 것 같다. 참고로 옆/뒤에 높이 지나가는 도로는 수도권 제1순환 고속도로이다. 고속도로가 저 은행나무 옆으로 나지 않거나 은행나무가 인천대공원 내에 있었다면 좀 더 관광..

사진 모음 2024.11.17

무지개 사진 모음

늘 무지개 보면 "우와~무지개다~" 그러면서 사진을 찍어두는데막상 아 그때 무지개 예뻤는데, 언제였고 어디었더라 기억이 안 나서블로그 주인장이 모아보고 싶어서 모으는 무지개 사진들이다.최신순부터 오래된 순으로 기록되어있다. 2024.10.03. 양평 두물머리 (17시 50분쯤)특이사항: 쌍무지개 & 완벽한 반원이 보임 cf) 쌍무지개가 있을 경우 안쪽의 무지개를 수무지개, 바깥쪽의 무지개를 암무지개라고 부르는데, 암무지개의 색은 수무지개의 색과 반대방향이다. 즉, 보남파초노주빨~ 2024.08.29. 원주 (17시 50분쯤)특이사항: 쌍무지개 & 두꺼움 2023.06.04. 잠수교 인공무지개 (16시 20분쯤)특이사항: 잠수교 위의 반포대교의 달빛무지개분수 덕분에 생김 & 지속시간이 짧음 cf) 무지개는..

사진 모음 2024.11.12

꿀벌, 어리호박벌 사진

참고로 호박벌과 어리호박벌은 이름은 비슷하지만 생물학적으로 분류가 좀 멀다.아예 사는 행태가 다른 수준이라고...뭐 사실 보통 등에랑 벌이랑 구별 못하는 것처럼 저게 생물학적으로 비슷한 놈인지 아닌지 어떻게 알 방법이 없긴 하다.비슷하게 생겼으면 비슷하게 이름 짓는 거지 뭐~~원래는 호박벌 사진도 올리고 싶었는데...왜 다 화질구지일까...호박벌이 날기위해 고군분투해서 그런 것인가...

사진 모음 2024.05.29

블로그 로고의 변천사(?)

이 블로그는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시작해서 지금 대학교 6학년이 되었으니 (학과가 6년제임) 대략 12년 정도 되었는데 아주 옛날 로고는 그냥 포토샵 연습으로 만든 회오리 모양이었다. 그러다가 언제였는지 정확히 기억은 안 나는데, 태몽이 뱀이었고 원래는 과학 지식을 전달하는 블로그여서 물음표뱀을 로고로 바꿨다. 당시에는 마우스로 삐뚤빼뚤하게 그림을 그렸다. 그래도 저 정도면 마우스로 아주 훌륭함. 학생의 마지막인 올해 딱히 질 좋은 글도 안 쓰면서 삘 받아서 로고를 바꿨다. 의학의 상징이자 내 블로그의 상징이었던 뱀은 아직도 물음표이고 체온과 같이 36.5도 기울어진 펜은 글을 쓰는 자아를 상징한다. 근데 요즘 코바늘에 꽂혀서 코바늘 로고도 만들어서 레이블리에서 쓰고 있다. :) 시험공부도 해야 하지만..

사진 모음 2023.08.30

벌레 잡은 긴잎끈끈이주걱 (모기? 각다귀?)

기숙사를 3일동안 비우고 오랜만에 들어오니 저면관수를 해둔 끈끈이주걱의 물이 거의 사라져있었다. 내가 물을 많이 담아두고 갔다온 것 같은데, 요즘 꽃대가 올라와서 물을 많이 쓰나? 싶어서 물주려고 하려던 찰나 어? 이건 뭐지? 아니 저 멍청한 벌레는 뭐지? 옆에 월동자도 있고 선인장도 있는데 왜 끈끈이주걱 위에 앉아있는거야... 자세히 살펴보니 끈끈이주걱은 장축을 기준으로 접혀있었고, 벌레는 3일만에 저렇게 마를 수 있나 싶을 정도로 몸체가 쭈글쭈글했다. 예전에 다른 벌레는 잡아먹을 때에는 단축을 기준으로 말았던 것 같은데, 벌레가 건드리는 위치에 따라서 어느 축을 기준으로 접히냐가 다른가 궁금하다. 시간이 되면 논문을 찾아봐야지. 하여간 저러고 오늘까지 총 3일이 지났는데 끈끈이주걱과 벌레 사이에 큰 ..

사진 모음 2023.08.29

긴잎끈끈이주걱 사진

긴잎끈끈이주걱 사진만 있고 관련 정보는 없는 글입니다. (블로그 주인장의 주저리주저리는 좀 있음) LG G6로 찍고 GIMP로 색보정 좀 했다. 요즘 휴대폰을 오래 써서 그런가 렌즈 앞유리에 기스가 났는지 사진 색감이 이상해져서 가끔 보정을 하게 된다.선인장과 월동자처럼 물을 자주 안 주는 식물만 키우는 나에게 미션이 하나 더 추가되었다. 식충식물 동호회에서 뽑기를 통한 나눔행사를 하길래 했더니 덜커덕 당첨이 되어 들고 온 긴잎끈끈이주걱, 어떻게 키워야하나 찾아보아야 하는데 식충식물의 수렴진화 관련 내용이 흥미로워서 읽어보고 있다. (참고하실 분은 https://m.ibric.org/trend/news/subread.php?Board=news&id=280183)https://m.ibric.org/tren..

사진 모음 2023.07.30

무지개와 멋진 하늘!!!

어저께 아빠 차를 타고 학교에 오면서 정말 멋진 하늘과 무지개를 보았습니다!자동차는 흔들흔들... 반원이 둥그렇게 다 보였어요!쌍무지개 같기도 했는데 하나는 잘 안 보였습니다. 하늘 색깔 마음에 들어!~ 황금빛 하늘이네요. ^^ 남산 타워~ 진짜...이런 것을 보는 날이 집에 가는 길이 아니고 학교 가는 길이라는 것이 조금 아쉬웠습니다.

사진 모음 2016.08.29

설악산 울산바위 등정~!

토요일 당일치기로 설악산 울산바위를 갔다왔습니다.그냥 찍으면 색감이 안 좋아서 필터설정을 했더니만 ...음...너무 이상한데... 이것은 필터를 해서 잘 된 사례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왜 이렇게 필터 낀 사진이 많을까요?인간의 눈과 카메라의 화면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근데 진짜 설악산 멋있어요! 가끔 이런 매미도 볼 수 있고... 이것은 필터 없는 것입니다. 저 맞은편에 보이는 것은 뭔지 모르겠지만 설악산의 일부입니다.울산바위 꼭대기에서...옆에있는 바위를 보며...(이름은 기억이 전혀 안 나고...) 울산바위에 올라서 아래를 쳐다보니온 동네가 보이고, 바다도 보이고... 울산바위 꼭대기에는 사람들의 음식을 뺏어먹는다람쥐가 2마리(제가 본 바로는) 살고 있습니다.이 사진 정말 잘 나왔는데아빠가 ..

사진 모음 2016.08.0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