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research 2

[논문 무료 열람] 소속기관을 통해서도 안 열린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몇몇 논문은 Open access로 그냥 열람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논문은 그렇지 않다.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연구자들이 각자 펀드 받아서 논문 쓰고, 논문 게재료를 내고 학술지에 올리고,올릴지 말지 평가하는 Peer-review는 무보수로 해주는데,논문 열람까지 돈을 내는 것은 약간 좀 억울한 면이 있는 것 같다.특히 주제가 확실하게 안 정해진 경우 단순 탐색 목적일 때는 더더욱 억울하다.물론 학술 논문 출판도 사업이고, 그걸 아카이빙하고 관리하는 비용도 있으니까 무조건 무료로 풀자는 주장을 하려는 것은 아니지만불쌍한 연구자들을 위해 어떻게 하면 논문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는지 설명하려고 한다.1. Sci-hub (https://www.sci-hub.se/)주소가 가끔 바뀌는데, 위의 링크가 안 된다면 ..

지식 게시판 2024.11.10

EndNote 사용법: 참고문헌을 효율적으로 달아보자

아마 다들 대학교 들어가면 어떻게 참고문헌을 다는지 배울텐데,어떤 내용이 들어가야 하는지 정도는 머릿속에 넣어두면 좋지만,어떤 형식으로 쓰는지 외우고 있는 것은 사실 조금 낭비다.왜냐하면 논문 사이트마다 원하는 참고문헌 양식이 다르기 때문이다.무슨 APA,  MLA 형식... 별의별 형식이 다 있다.심지어 글 내부에 들어가는 형식도 다르다.어디는 [1], [2-4] 뭐 이런 식으로 들어가고 어디는 (Einstein, 1935) 이런 식으로 들어가고...따라서 서지관리프로그램을 쓰면 좋다.그러면 알아서 바꿔주거덩...  오늘 소개할 서지 관리 프로그램은 EndNote(엔드노트)이다.안타깝게도 블로그 주인장은 다른 서지 관리 프로그램은 써본 적이 없으니'뭐는 어때요 쟤랑 비교해서 뭐가 좋아요'라는 질문은 대..

지식 게시판 2024.06.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