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지식 게시판 227

세포공생설 및 원핵세포->진핵세포 과정

우리는 다세포생물입니다. 그리고 우리 몸을 이루는 세포들은 진핵세포로 이루어져 있죠.그런데 지구에 처음으로 나타난 세포는 원핵세포입니다.어떻게 해서 원핵세포에서 진핵세포로 진화가 되었을까요?그것은 세포공생설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세포내공생설(Endosymbiotic theory)라고 불리기도 하는데'세포 내공 생성'처럼 들리고 제가 그렇게 오타내는 경우가 많아그냥 세포공생설이라고 하겠습니다. 세포공생설의 기본적인 정의는서로 다른 성질의 원핵생물들이 생존을 위해 공존을 모색하다진핵생물로 진화하게 되었다는 그런 얘기입니다.그럼 진화하는 과정을 살펴볼까요?먼저, 바로 세포공생을 하지 않고 그 전에원핵생물에 있던 단단한 세포벽이 사라집니다.그리하여 원형질막만 남게 되고 외부 모양이 잘 바뀔 수 있습니다.그러다 ..

지식 게시판 2013.01.22

진화론은 학생들이 모두 알고 가야 하는 내용이다.

에... 저도 학생입니다.사실 중학생입니다.그래서 저는 아마 고등학교 올라가서 진화론을 안 배우게 될 것 같습니다.하지만 저는 과학도인데다가 가장 좋아하는 과학종류가생물, 물리, 화학, 지구과학 순서이기 때문에혹시 진화론 강의가 있을 때 들어놓아야지~하고 강의를 찾았습니다.그런데 제가 외국 사이트에서 강의를 듣거든요->https://www.coursera.org/두 번째 강의에 한국이 나왔습니다.『June 5, 2012, Nature “South Korea surrenders to creatonist demands– Publishers set to remove examples of evolution from high-school textbooks”』이게 뭐야....그 강의를 미국인에다가 스페인, 아프가니..

지식 게시판 2013.01.14

A, B, C 계열 종이에 관해서

초등학교 4학년 때, 가방 지퍼가 고장나는 바람에 엄마가 새 가방을 사 준 적이 있었다. 그런데 그 가방이 작아서 낱장화일에 들어가는 A4크기의 통신문도 잘 안 들어갔다. 위에를 좀 구기면 되었지만 워낙 그 나이는 요구르트 뚜껑(?)인 초록색 종이도 동그랗게 안 뜯기면 우는 나이였기에 억지로라도 A4용지를 펴서 가방에 넣으려고 했었다. 그러다가 의문점이 생긴 게 있었다. 왜 하필 A4용지를 쓰지? 책 크기의 종이면 가방에도 잘 들어가고 편할텐데. 그래서 종이에 대해 찾아보느라 컴퓨터를 열심히 두드린 적이 있었다. 그 때 조사한 것이 아직 남아있길래 좀 더 정리해서 글을 써 보려고 한다.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정한 종이에는 크게 3가지 규격이 있다. 알파벳 첫 3글자인 A, B, C 계열인데 요즘에는 각각..

지식 게시판 2013.01.08

여러 컴퓨터 코드를 배우는 사이트

http://www.codecademy.com/자, 위의 사이트를 들어가봅시다.그러면 이런 창이 뜰 것입니다. 오른쪽에 뭐 어떻게 하라는 설명이 있네요.일단 이름을 큰 따옴표 안에 넣으라니 해 보죠.음...실명으로 안 해도 되네. 잘 했다고 칭찬을 해 주니 기분이 좋네요.그래서 계속해보기로 하였습니다.그랬더니....그래, 안녕! alert는 작은 창이 뜨는 건가 보군요.확인을 눌러서 작은 창을 꺼 줍니다. 수학적인 내용을 해 보자고? 음...좀 길게 해 봐야지.이메일 주소요?? 알아서 뭐하게요?그래서 그냥 아무 문자나 집어넣어 보았습니다.15글자 맞나? 해서 세어봤는데 괜한 짓 한 느낌이군요.이제 날짜를 써라...오, 똑똑한데... 그런데 어쩌다 보니 첫 번째 수업을 한 셈이 되네요.다른 수업은 어떨까 ..

지식 게시판 2013.01.05

동물의 색과 무늬의 기능

동물은 각기 다른 색깔과 모양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런데 왜 그런 걸 지니고 있죠?솔직히 인간은 그냥 온 몸이 같은 피부색인데...동물들이 이러한 색과 모양을 지닌 이유는 3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위장(camouflage)의 기능간단히 보호색(crypsis)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이건 또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일단, 배경맞추기(background matching)가 있습니다.색이나 모양이 주위환경과 비슷하게 하는 것으로 천적이 찾기가 힘들게 합니다. 출처: http://commons.wikimedia.org/wiki/File:Psetta_maxima_Luc_Viatour.jpg저작권 정보를 보고 이용가능하길래 데려온 대문짝넙치 사진입니다.하여간 이런 녀석이 배경맞추기를 아주 잘 한 예시이죠...

지식 게시판 2013.01.04

사람은 왜 화가 나면 주변의 물건에 화풀이를 할까?

만약 당신의 친구, 또는 가족이 엄청난 말썽을 부렸습니다. 그럼 무엇을 하실 겁니까?친구나 가족이 마음에 안 든다고 관계를 끊을 순 없고,때릴 수도 없고...일반적으로 대부분은 주변의 물건에 화풀이를 합니다.책상을 친다거나, 뭘 던져버리던가,인형을 못살게 군다거나, 뭐 기타 등등.왜 이러는 걸까요?이런 걸 전위 행동(displacement activity)라고 합니다.두 가지의 모순된 자극이 주어졌을 때 두 가지 중 어느 행동도 아닌제 3의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하는데요,예를 한 번 들어보죠.작년에 학교에서 선생님 말을 진짜 안 듣는 아이가 있었습니다.말귀도 잘 못 알아들어서 2~3번 말해줘야 하는데숙제도 잘 안 해왔습니다.그래서 선생님이 혼내는데 오히려 대들더라고요.선생님은 그 때 교탁을 세게 내리쳤습..

지식 게시판 2013.01.02

렘수면[REM수면]

당신은 어젯밤에 꿈을 꿨는가? 만약 꿈을 꿨다면 악몽일 수도 있고, 아주 행복한 꿈을 꾼 사람도 있을 것이다. 물론, 꿈을 꾸지 않았다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일반 사람이면 무조건 수면을 할 때 꿈을 꾼다. 한 번도 아니고 여러번 꾼다. 그렇다면 꿈을 꾸지 않은 듯한 느낌은 왜 드는 걸까? 그 비밀은 수면에 있다. 보통 수면은 비렘수면과 렘수면, 이렇게 2가지로 나눈다.(참고로 비렘수면은 영어 약자로 NREM[nonrapid eye movement sleep]이고 렘수면은 REM[rapid eye movement sleep]이다.) 오늘의 주제는 렘수면이다. 나중에 비렘수면을 설명할 기회가 있기를 바라고, 일단 렘수면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Rapid Eye Movement Sleep이라...한 ..

지식 게시판 2013.01.02

줄기의 종류

과학시간에 공부하는 내용을 보면뿌리의 종류는 많이 나옵니다.수염뿌리, 곧은뿌리, 저장뿌리, 호흡뿌리 등 많은데왜 줄기나 잎의 종류는 안 나오는 것일까요?어려워서 그러나,복잡해서 그러나?그래서 한 번 찾아보니까 그닥 어렵지는 않더라고요. 먼저, 줄기의 종류를 찾아보았습니다.그런데 이게 나누는 기준에 따라서 종류가 다르더라고요.그래서 그냥 기능에 따라서 나눈비늘줄기, 알줄기, 덩이줄기, 뿌리줄기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1. 비늘줄기생장하기 힘든 겨울이나 건기에는(어떤 식물은 여름에) 휴면기관이 되고,영양번식을 하는 기관입니다. 영양번식이란 접목과 같이 종자를 이용하지 않는 번식인데요, 그 뜻은 이 비늘줄기를 잘라서 심으면 새로운 식물이 자라날 수 있다는 겁니다. 그래서 이 영양번식을 하는 잡초는 없애기가 힘..

지식 게시판 2012.12.30

물질의 상평형 그림

화학을 배우다 보면 아주아주 쉬운 문제가 나올 때가물질의 상평형 그림이 나올 때인 것 같아요.아니신 분들도 있겠지만 그냥 그림만 잘 해석하면 되니까요.그러면 상평형 그림이 무엇일까요?상평형 그림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내려집니다.'한 물질들의 여러 상들이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는 압력과 온도의 영역을 나타낸 그림'여기서 한 물질들의 여러 상이라는 것은 고체, 액체, 기체를 의미해요.그래서 상평형 그림은 다음과 같이 생겼습니다. 출처: http://ltl.tkk.fi/research/theory/typicalpt.html상평형 그림은 영어로 phase diagram입니다. 여기서 pressure은 압력, temperature은 온도, triple point는 삼중점,critical point는 임계점, so..

지식 게시판 2012.12.23

5대 멸종(Big Five)

요즘 마야인들이 예언한 달력인가 뭔가 해서지구 멸망설이 자꾸자꾸 떠오르고 있어서 떠올리게 된 내용이대량 멸종입니다.대량 멸종(mass extinction)은 생물군의 다양성과 개체 수가급속히 감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이것은 종 형성의 정도보다 종 사멸이 더 급격히 일어날 때 발생됩니다.간단히 말해서 집단 떼죽음?지금까지 지구 역사에서는 몇 번의 대량 멸종이 있었을까요?1984년에 발표한 잭 셉코스키와 데이비드 라우프의 논문에 의하면다섯 가지 대멸종이 있었다고 합니다.그리고 이 대멸종은 대략 2천 6백만년마다 일어났다고 하네요. *첫 번째 대멸종: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멸종(Ordovician-Silurian Extinction Event)대충 오르도비스기 말엽에 일어났다고 부르는데요,이게 언제냐면 5억..

지식 게시판 2012.12.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