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지식 게시판 227

심폐소생술(CPR)

시험이 끝나고 봉사활동을 다녀왔습니다. 뭐, 말은 봉사활동인데그냥 심폐소생술 배우고 온 겁니다.그래서 그걸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심폐소생술은 뭐죠?심폐소생술이라...心肺蘇生術?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에....아는 한자가 '심'과 '생'밖에 없네요.아는 영어는 Cardio와 Resuscitation...뭐, 한자말로 풀어보면 심장과 폐를 깨어나고 살리는 재주...영어로 풀면 심장의(Cardio), 그리고 폐의(Pulmonary) 부활(Resuscitation)...정확한 의미는 갑작스런 심장마비 환자에 대하여가슴압박만으로 정지된 심장과 폐의 기능을 소생시켜생명을 살리는 응급처치 기술입니다.여기서 '가슴압박만으로'라는 말에 의문을 갖는 사람도 있을 것 같아..

지식 게시판 2012.12.09

나의 닉네임에 있던 질병->일과성 뇌허혈 발작??

뭐, 다들 이런 활동 해 본 적 있을 겁니다.자신의 이름을 인터넷에 검색해보는 일,자신의 닉네임, 아니면 별명 등을 찾아보는 일.저도 많이 했던 활동인데요,제 이름은 매우매우 흔해서 그건 별 특별한 관심이 없지만닉네임은 제가 만든 제 이름이여서 관심이 매우 깊습니다.그래서 제 닉네임 "미레티아"를 영어로 찾아 보았어요.(뭐, 한국어 뜻은 없게 생겼잖아요?) 1. 한 음절씩 끊어 찾기미레티아를 영어로 쓰면 Miretia로, 한 음절씩,그러니까 mi, re, ti, a로 나눠서 찾아보았어요.(음절은 한국어 기준이었어요.)mi는 ' 미 (전음계의 제 3음)'이라고 나오고re는 ' 전음계의 제 2음, 레 음'이라고 나오고ti는 ' 전음계의 제 7음, 장음계의 「시」(si)'라고 나오고a는 ' 가음(音); 가음의..

지식 게시판 2012.11.30

참 무거운 운석들

운석의 이름발견 장소무게(톤) 호바 웨스트나미비아66.1 아니히토그린란드 33.5 바쿠베리토멕시코 29.8 므보시탄자니아 28.7 아그팔리크그린란드 22.2 아만티외몽골 22 윌라메트미국 15.4 추파데로멕시코 15.4 캄포 델 시엘로아르헨티나 14.3 문드라빌라오스트레일리아 13.2 모리토멕시코 12.1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 무겁다고 항상 큰 것은 아닙니다. 위에 나와있는 운석 중 윌라메트가 가장 큰데요,길이가 3.048m, 폭은 1.524m라고 하네요.

지식 게시판 2012.11.25

심슨의 정리

'심슨'하시면 무엇이 떠오르시죠?아마 아래 그림의 캐릭터가 떠오르실 거에요. 사진 출처: http://ask.nate.com/qna/view.html?n=5902305노란색 캐릭터인 호머 심슨과 그 가족들(나머지는 이름이 뭐죠?)그런데 심슨 말고, '심슨의 정리'하면 무엇이 떠오르시죠?뭐, 심슨이 집을 정리한 적이 있나?이제부턴 그런 생각을 하지 마시고,"심슨의 정리"하면 바로 수학적 정리를 떠올리세요. 이 수학자는 별로 유명하지 않지만R.Simson이라는 수학자가 만든 정리인 심슨의 정리는 아주 유명합니다.뭐, 비록 철자는 심슨 가족과 다르지만 인상깊잖아요?하여간, 심슨의 정리가 무엇이냐, 하면'삼각형의 외접선 위에 있는 임의의 한 점으로부터삼각형의 세 변 또는 그 연장선 위로의 수선의 발은 한 직선위..

지식 게시판 2012.11.18

태양계의 행성들

태양계에는 총 8개의 행성이 있습니다. 명왕성은 2006년에 왜행성이 되었죠. 그래도 전 명왕성까지 일단 소개를 해 보려고 합니다. 1. 수성 사진 출처: http://www.astro-observer.com/solarsystem/mercury/index.html 수성은 태양과 가장 가까운 행성입니다. 태양과의 평균 거리는 57909100km정도 되고요, 공전주기는 88일입니다. 이것을 년으로 계산하면 0.24년이 되고요. 행성의 지름은 약 4878km이고 중력의 크기는 지구의 0.37배입니다. 하루의 길이는 58일 15시간 30분 정도 되어 수성에서 이틀만 있으면 이미 한 살 먹은 상태가 되네요. 아, 물론 수성의 공전과 자전을 기준으로 했을 때이고요. 위성은 하나도 없습니다. 2. 금성 사진 출처: ..

지식 게시판 2012.11.11

위험한 물질, 위험한 쓰레기

쓰레기 중에서 위험한 것들이 있습니다.그 위험하다는 것은 사람에게 해를 끼칠 수 있고,심지어는 죽일 수 있는 쓰레기들을 의미하는데그런 것들도 종류가 있다는 것 아시나요?위험한 쓰레기는 고엔트로피 물질이기 때문에원래의 저엔트로피 물질의 성질과 관련이 있습니다.하여간, 그건 그렇고,위험한 물질은 4가지로 구별이 되는데한 종류씩 알아볼까요? 1. 부식성 물질부식성 물질은 다른 물질을 닳게 하거나 파괴할 수 있는 물질을 말합니다.부식성 물질은 흡입시 위와 폐를 손상시키고금속을 파괴하고, 피부에 화상을 입히며,눈에 피해를 주는 기체를 발생시킵니다.대부분의 산성 물질이 부식성 물질이라고 보면 됩니다.이번에 구미 불산 누출 사건의 불산도부식성 물질입니다.그래서 피해를 보면 장난이 아니잖아요.농작물 죽고 동물 죽고 자..

지식 게시판 2012.10.28

벡터가 물리에서만 쓰이냐? 생물과 컴퓨터, 심리학에서도 쓰인다!

안녕하세요~^^저번에 벡터와 스칼라에 관한 이야기를 올렸는데요,(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볼 수 있는 이야기입니다.)http://miretia.tistory.com/29오늘도 벡터에 관해서 글을 써 보려고 해요.그런데 똑같은 내용은 아닌 것이,벡터(vector)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거든요.오늘은 물리와 수학 말고 다른 분야의 벡터를 알아보겠습니다. 1. 생물학의 벡터아마 물리학에서 씌이는 벡터 다음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분야가생물학의 벡터일 것 같은데요,생물학에서의 벡터는 "유전자를 적절한 지점으로 운반해 주는 운반체"를 의미합니다.원래 의미는 '병원균의 매개 동물'로 절지동물 등을 의미했으나요즘은 유전자의 운반체라는 의미로 훨씬 자주 씌이더라고요.일반적으로 벡터로는 플라스미드, 바이러스, 파지..

지식 게시판 2012.10.20

벡터와 스칼라에 대한 기본 지식

벡터와 스칼라...왠지 벡터는 어디서 들어본 것 같죠?그래요, '기하와 벡터'할 때 들어봤어요.그런데 그건 수학이고,오늘은 물리에서 말하는 벡터와 스칼라의 정의, 종류 등을 알아볼께요.(수학과 물리에서 말하는 벡터와 스칼라는 완전히 다른 것은 아닌데전 아직 수1을 하고 있거든요...) 한 번 벡터를 사전에 쳐 볼까요?그냥 쳐 보지 말고 국어 사전에 벡터, 영한 사전에 vector,다음 사전, 네이버 사전, 전자 사전에 쳐 보세요.아마 다양한 종류의 벡터 해석이 나올겁니다.뭐, 벡터라는 말은 다양하게 이용되니까요.수학과 물리학에서 쓰는 벡터(vector)는"크기와 방향으로 정하여 지는 양"입니다.여기서 중요한 것은 "방향"입니다.방향이 왜 중요하냐면 스칼라의 정의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스칼라는 "방향의 ..

지식 게시판 2012.10.07

Alexander horned sphere: 구와 위상동형인 물체

오늘 글의 주제는 구와 위상동형인 Alexander horned sphere에 관한 내용입니다.Alexander horned sphere...많은 문헌에서 이것에 관해서 다루지 않습니다.따라서 사전을 찾아봐도 한국말로 뭐라 하는지 안 나오네요.그래서 저는 그냥 '초승달형 구'라고 하겠습니다.(제가 이걸 클리퍼드 픽오버가 지은 '뫼비우스의 띠'라는 책에서 보았는데거기서 '초승달형 구'라고 설명을 했거든요...그래서 그게 익숙해졌네요.) 초승달형 구는 제목에서도 썼듯이 구와 위상동형입니다.위상동형이 무엇이냐고요?그러니까 이 물체를 자르거나 찢는 등의 행위를 하지 않고다른 물체로 변형 시킬 수 있는 것이라고 하면 될까요,사전에선 위상수학에서 위상적 성질을 보존하는 동형사상을 말한다는데간단히 말하면 변형시켜서 ..

지식 게시판 2012.09.27

개그콘서트에 나오는 인물들의 질병?!

안녕하세요~미레티아입니다. 제가 워낙 대중 문화에 둔감해서 연예인들을 잘 모르는데 친구들과 이야기하고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언급하시는 것을 듣다가 개그콘서트에 대해 알게되었는데요, 여러 캐릭터들 중 웃겨 보이지만 현실에서도 질병 때문에 그런 행동을 하는 사람들도 있고 캐릭터가 전제조건으로 끌고가는 것이 건강에 안 좋은 조건인 경우가 있더라고요. 그래서 한 번 그걸 분석해 보려고 합니다. 재미로 한 거니까 악플은 달지 마시고요. 1. 갸루상(박성호 분) 사진 출처: 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20813070506804갸루상의 특징은 "사람이 아니므니다"뭐 그런 말을 하는 것인데요, 사람이 사람이 아니라고 하다니...말이 안 되고 황당하죠? ..

지식 게시판 2012.09.15

오늘은 블루문 뜨는 날!(2012.8.31)

(와...제가 이 글을 때를 맞춰 포스팅하려고 몇 달을 기다렸나 몰라요.) 오늘, 즉 2012년 8월 31일은 블루문이 뜨는 날입니다. 그런데 블루문이 뭐죠?? Blue moon...해서 파란색 달인가?? 한 번 오늘 열심히 밤하늘을 바라보세요. 파란색은 무슨, 평소와 다름없는 흰 달이 보일 겁니다. 위 그림: 직접 포토샵으로 그림 그러면 블루문이란 무엇일까요? 블루문은 한 달에 2번째로 뜨는 달을 의미합니다. 달의 공전 주기는 약 27일이지만 지구도 공전을 하기 때문에 지구에서 볼 때는 약 29.5일이 달의 주기인 것처럼 보여요. 따라서 한 달이 30내지 31일인 우리들의 달력에 따르면 보름달은 일반적으로 한 달에 한 번을 볼 수 있고 한 달에 두 번을 볼 수 있을 때는 운이 좋은 날이죠. (오늘이 그..

지식 게시판 2012.08.31

하디-바인베르크 법칙

유전자에는 대립유전자가 있죠. 우성과 열성 유전자로 나눠지는 이 유전자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시다시피 우성 유전자가 발현이 더 잘됩니다. 그렇다면, 열성 유전자는 시간이 오래 지나면 숫자가 줄어들고 궁극적으로 없어지지 않을까요? 이러한 의문을 갖고 서로 독자적으로 이것을 연구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영국의 수학자 하디(Godfrey Harold Hardy), 독일의 의사 바인베르크(Wilhelm Weinberg). (간혹 바인베르크 이름이 와인버그나 와인베르크라고 나오는데 일반적으로 바인베르크라고 많이 씁니다. 독일어 발음은 W가 'ㅂ'발음이 나지만 알파벳은 같게 생기다 보니...) 그들이 밝혀낸 것은 수학적으로 따졌을 때 '우성유전자와 열성유전자의 비율은 세대를 거듭해도 변하지 않고 일정하다' 라는 내..

지식 게시판 2012.08.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