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논문 8

정상적인 Zebrafish의 발생 과정 사진

신년맞이 사진정리하다가 오랜만에 발견한 Zebrafish 사진들...출판된/출판될 자료는 아니고 혼자 보기 아까우니까 올려본당 정상적인 Zebrafish의 발생 과정(a) Zygote Period (0-¾ hpf),  (b, c) Cleavage Period (¾-2¼ hpf), (d, e) Blastula Period (2¼-5¼ hpf), (f-i) Gastrula Period (5¼-10 hpf), (j-l) Segmentation Period (10-24 hpf), (m) Pharyngula Period (24-48 hpf), (n) Hatching Period (48-72 hpf),  hpf: hour-post fertilization 더보기관리를 잘못했었는지 (k) 사진이 좀 지저분하지만 당시..

사진 모음 2025.01.03

왜 아기, 강아지, 고양이 등이 귀여울까?: 로렌츠의 Baby schema(베이비 스키마) 이론

세상에 귀여운 것이 참 많다.그 중에는 나만 귀여운 것도 좀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귀엽다고 동의하는 대상도 있다.바로 아기와 강아지, 고양이, 토끼 등등이다.왜 이들은 귀여울까? 무엇을 귀엽다 느끼는지에 대한 이론 중에 가장 오래되고 널리 연구된 것 중에 하나가1943년 동물학자 콘라드 로렌츠(Konrad Lorenz)가 제시한 베이비 스키마(Baby schema)이다.번역으로는 유아도해(幼兒圖解)라고도 하는 것 같다.해당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논문을 찾아본 결과, 안타깝게도 당시에 그가 독일어로 논문을 썼다.(원문 링크: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111/j.1439-0310.1943.tb00655.x)고로 다른 논문을 참고하여 해당 내용에 대해..

지식 게시판 2024.11.20

[연구 평가 지표] 3. 논문 영향력 지수: 피인용수(Citation impact), FWCI, CNCI

연구 평가 지표 시리즈의 마지막 글인 '3. 논문 영향력 지수'이다.이전 글은 '1. 저널 영향력 지수', '2. 연구자 영향력 지수' 였었다.0. 논문 영향력 지수란?아무리 좋은 저널에 실려도, 아무리 유명한 저자가 써도 알고보면 별로인 논문이 있을 수 있고,좀 안 좋은 저널에 실려도, 신인이 썼어도 좋은 논문이 있을 수 있다.특히 이런 문제점은 유행하는 주제가 있는 분야가 심한 것 같다.내 친구는 고생해서 논문을 좋은 데에다 냈더니만 그 기술 자체가 사장되어(더 좋은 기술이 개발됨) 아무도 안 읽어준다.그러면 논문은 진짜 고생하고 열심히 썼지만 논문 영향력 지수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또 어떤 교수님이 쓰는 논문은 방법론적으로 해당 분야에서는 아무도 안 쓴 논문이라서 저널에서 계속 까여서 impact ..

지식 게시판 2024.11.13

[논문 무료 열람] 소속기관을 통해서도 안 열린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몇몇 논문은 Open access로 그냥 열람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논문은 그렇지 않다.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연구자들이 각자 펀드 받아서 논문 쓰고, 논문 게재료를 내고 학술지에 올리고,올릴지 말지 평가하는 Peer-review는 무보수로 해주는데,논문 열람까지 돈을 내는 것은 약간 좀 억울한 면이 있는 것 같다.특히 주제가 확실하게 안 정해진 경우 단순 탐색 목적일 때는 더더욱 억울하다.물론 학술 논문 출판도 사업이고, 그걸 아카이빙하고 관리하는 비용도 있으니까 무조건 무료로 풀자는 주장을 하려는 것은 아니지만불쌍한 연구자들을 위해 어떻게 하면 논문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는지 설명하려고 한다.1. Sci-hub (https://www.sci-hub.se/)주소가 가끔 바뀌는데, 위의 링크가 안 된다면 ..

지식 게시판 2024.11.10

서지정보(인용정보) 일괄 다운로드 & 저장 @ Google Scholar, Pubmed 등: Harzing's Publish or Perish

메타분석을 시작할 때 귀찮은 점 중 하나는 논문 목록을 쭉 뽑은 다음에 뭐를 포함시키고 제할지 고르는 과정일 것이다.근데 Pubmed 같은 곳은 검색된 자료들이 엑셀로 쭉 뽑히는데 구글 스칼라(Google Scholar)는 그런 기능이 없다.물론 별표를 눌러서 저장을 한 다음에 내 서재에서 다운로드를 하면 되는데일괄적으로 별표를 누르는 기능은 없어서 결국 노가다를 해야한다.그래서 찾은 프로그램: Harzing's Publish of Perish프로그램 제목이 'Publish of Perish'이고 Harzing.com에서 개발하고 배포해서 Harzing's Publish or Perish라고 해당 프로그램은 여러 사이트에서 원하는 조건으로 검색된 모든 논문을 엑셀로 다운받을 수도 있고, Endnote로 ..

지식 게시판 2024.10.23

[Endnote] 저자가 사람이 아니라 띄어쓰기가 있는 기관일 때 축약 문제

그냥 author에 기관명을 넣으면 되는 문제가 아닌가? 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기관명에 띄어쓰기가 있는 경우가 황당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저 같은 경우는 지금 'Herpes Zoster and Functional Decline Consortium'에서 쓴 논문을 인용하려고 하는데Endnote가 Consortium이 성이고 Herpes부터 decline까지 이름이라고 생각하고파일에서 인용을 하게 되면 'H.Z. a F.D. Consortium'이라고 축약해서 작성해줍니다. 이런 황당한 사건이...!물론 다 쓰고 나서 교정을 받으면서 수기로 바꾸긴 하지만 의외로 모두가 놓치고 오탈자가 그대로 올라가는 수가 있어서Endnote내에서 변경하면 편리하겠죠? 일단 Edit를 들어갑니다.그리고 기관명 ..

지식 게시판 2024.10.10

EndNote 사용법: 참고문헌을 효율적으로 달아보자

아마 다들 대학교 들어가면 어떻게 참고문헌을 다는지 배울텐데,어떤 내용이 들어가야 하는지 정도는 머릿속에 넣어두면 좋지만,어떤 형식으로 쓰는지 외우고 있는 것은 사실 조금 낭비다.왜냐하면 논문 사이트마다 원하는 참고문헌 양식이 다르기 때문이다.무슨 APA,  MLA 형식... 별의별 형식이 다 있다.심지어 글 내부에 들어가는 형식도 다르다.어디는 [1], [2-4] 뭐 이런 식으로 들어가고 어디는 (Einstein, 1935) 이런 식으로 들어가고...따라서 서지관리프로그램을 쓰면 좋다.그러면 알아서 바꿔주거덩...  오늘 소개할 서지 관리 프로그램은 EndNote(엔드노트)이다.안타깝게도 블로그 주인장은 다른 서지 관리 프로그램은 써본 적이 없으니'뭐는 어때요 쟤랑 비교해서 뭐가 좋아요'라는 질문은 대..

지식 게시판 2024.06.19

왜 날아다니는 벌레들은 빛을 향해 달려들까?

참고문헌: Fabian, S. T., Sondhi, Y., Allen, P. E., Theobald, J. C., & Lin, H. T. (2024). Why flying insects gather at artificial light. Nature Communications, 15(1), 689. (논문 링크: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24-44785-3)cf) 저는 이쪽 전문가가 아닙니다. 흥미로운 논문 있으면 읽어보길 좋아하는 사람입니다...ㅎㅎ 🔥─ 🦋─🐞─🦟 ─💡 영어 표현 중에 'Drawn like a moth to a flame', 즉 '불꽃으로 뛰어드는 나방처럼'이라는 표현이 있다.사실 나방 뿐 아니라 많은 날벌레들이 빛을 향해 달려든다..

지식 게시판 2024.05.06
728x90
반응형